콘진원, ‘2021년 콘텐츠산업 고용구조 분석연구’ 보고서 발간

2022년 01월 19일 13시 37분 45초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조현래, 이하 콘진원)은 콘텐츠산업 고용구조의 특징을 조사한 <2021년 콘텐츠산업 고용구조 분석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조사는 콘텐츠산업 주요 8개 장르 사업체 2,000개사와 프리랜서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인력현황 분석을 통해 고용활성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격년도로 진행되는 본 연구의 2021년 보고서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콘텐츠산업 내 고용구조 변화와 디지털 전환 현황 등을 살필 수 있다.

 

◆ 코로나19로 인한 신규 고용 위축, 경력직 선호 늘어…인력수급의 미스매칭 심화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8개 장르 콘텐츠산업 제작·유통 인력은 총 28.1만 명(단순 임대 및 도소매업 종사자 제외)이며, ▲사업체 종사자(정규/비정규직) 20.2만 명(71.9%) ▲프리랜서 7.9만 명(28.1%)으로 추산된다.

 

지난 2019년 연구에서 조사된 사업체 종사자(2018년 기준) 대비 2021년 종사자는 4년간 19.7만 명에서 20.2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프리랜서는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시장 위축으로 인해 8.6만 명에서 7.9만 명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산업의 인력수급 현황 분석 결과, 경력채용에 대한 수요는 74.6%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8년과 비교했을 때 26.1%p 증가한 것으로 드러나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코로나19로 산업 자체가 위축된 상황에서 업무에 즉시 투입 가능한 인력에 대한 업계 수요가 높아져, 상대적으로 신규인력들이 고용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업체에서 신규채용 예정 인력인 2천 700여 명보다 많은 1만 5,900여 명(추정)의 인력이 취업대상자로 확인돼 시장에 인력이 과잉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2019년 9천 500여 명이었던 인력의 미스매칭 규모가 1만 3,300여 명으로 늘어나 인력수급 불균형 및 미스매칭이 보다 심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 디지털 전환 대응 인력 확보, 신규인력 위한 일경험 핀셋형 지원 등 필요성 제시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콘텐츠산업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조사했다. 2021년 사업체 조사결과, 기획·제작, 유통 등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이라고 22.3%가 응답했다. 다만,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인 기업 중 48.1%는 직원 재교육, 관련 신규 인력 채용과 같은 인력 확보 조치는 취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디지털 전환 대응을 위한 인력 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고서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콘텐츠산업 고용구조 문제점을 바탕으로 고용활성화 방안을 크게 2가지 측면에서 제시하고 있다.

 

우선 업계의 디지털 전환 및 인력 확보를 촉진하는 지원을 통해 디지털 인력이 콘텐츠산업으로 지속 유입되어 활동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제언했다. 또한, 사업체가 상대적으로 인력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세부 직무를 파악해 신규인력이 관련 직무에 대한 일경험을 쌓을 수 있게 하는 핀셋형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조건희 / desk@gameshot.net | 보도자료 desk@gameshot.net




알립니다

창간 24주년 퀴즈 이벤트 당첨자

창간 24주년 축전 이벤트 당첨자